엘라의 개발 스케치 Note
[KPT] 미니프로젝트: 팀 및 팀원 소개 페이지 “Who is B4AFTER?” 본문
0. 프로젝트 개요
- 스파르타코딩클럽 내일배움캠프 6기 Spring트랙 B반 4조(조해나, 이성수, 김보영, 장호진, 박서연)
- 프로젝트명: “Who is B4AFTER?”
- 목표: 팀 소개 및 팀원 소개
- 작업내용: 메인페이지 및 개인페이지 작성, 응원 댓글에 CRUD(저장, 보기, 수정, 삭제) 구현 등
1. Keep
- 하루도 빠짐없이 매일 적극적으로 참여한 점
- 팀원 간 한 명 한 명 모두의 의견을 존중하면서 작은 부분도 서로 보고 의견을 나누며, 빠르게 소통하고 피드백을 나눈 점
- 팀원끼리 항상 서로 고생했다고 말해주고, 힘을 북돋아주며 격려한 점
- 떠오르는 아이디어를 결과적으로 구현해내지 못하더라도 그 부분에 대해 모두 함께 같이 고민하고 찾아보고 공부하면서, 팀원 간 새로 발견한 정보나 지식들을 바로 공유하고 취합하며 구현을 시도해 끝까지 완성하려 노력한 점
- 일을 미루지 않고 바로 해결하려고 노력하다 보니 진행이 빨라 마감 기한 하루 전에 프로젝트를 완성한 점
2. Problem
- 구현능력과 배경지식이 완성되지 않아 구글링 하여 소스를 찾아도 실현하기가 어려웠고, 여러 가지 용어들에 대한 이해도도 부족해 찾아 공부하며 진행하다 보니 다른 팀원과의 소통에 어려움을 겪음
- 좋아요 버튼을 누르면 누르는 만큼 숫자가 올라가는 기능을 구현하지 못했는데, 그것을 구현해낸 다른 팀의 코드를 보니 충분히 우리도 할 수 있었는데 싶은 아쉬움이 들었음 -> 아직 뭔가를 구현하는 게 익숙하지 않아서 생각의 넓이가 좁았다고 생각됨
- Github 사용 공부를 마무리하지 못해 소스를 취합하는 데 어려움을 겪음
- REST API 작성에 어려움을 겪음
- 경험과 흐름 이해도 부족으로 인해 프레임 작성, 일정 계획, 역할 분담에 부족함이 있었음
3.Try
- 새로운 기술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, 강의를 통해 이론을 공부하며, 각종 코드 구현 능력을 쌓고, 바탕이 되는 기술을 숙련하기
- 기능에 대한 코드를 짤 때, 내가 떠오르는 생각 외에 다른 시각으로도 다양하게 길을 찾고 시도해보기
- Git 특강에서 배우는 내용 온전한 내 것으로 만들기
- RESTful하게 디자인 된 API 많이 보며 공부하기
- 많은 프로젝트를 경험해 다양한 시도를 해보면서 이해도를 키워, 프로젝트 초반 기획 단계에서 프레임을 상세하게 짜고 일정 계획과 역할 분담을 더 세세하게 나누기
+.Feel
조해나
“프로젝트를 협업으로 진행하는 게 어렵기도 했지만 아이디어와 열정이 넘치는 팀원 분들 덕분에 즐거운 마음으로 많이 배우며 성장했습니다. 앞으로도 많은 분들과 소통하며 즐겁게 공부에 임하고 싶습니다!"
이성수
“어색하고 백지상태였던 첫 시작에서 하나하나 쌓여가는 결과물들이 한 데 모여 완성도 있는 페이지가 되는것을 보며 보람을 느꼈습니다! 팀원들 모두 리스펙 하고 앞으로도 쭉 화이팅 입니다!”
김보영
“간단한 웹사이트였지만 과정은 그리 단순하지만은 않았고 생각했던 걸 구현하지 못했을 때의 답답함을 많이 느꼈습니다. 앞으로 내가 원하는 기능을 만들 수 있는 실력이 될 때까지 열심히 지식을 쌓아가고 싶습니다“
장호진
“막상 홈페이지를 만들어보니 무엇을 추가해야할지 막막하고 아이디어가 떠오른다고 해도 그것을 코드로 구현하는 것 또한 굉장히 어렵다고 느껴졌습니다. 그래도 팀원분들이 서로 노력한 부분을 합쳐 홈페이지가 점점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나름의 재미도 느꼈던 것 같습니다.”
박서연
“처음으로 웹페이지 만들기를 했는데 강의를 들으면서 실습하는거랑 또 다르게 느껴져서 힘들기도 했지만 열심히 하는 팀원들과 함께하니 더 노력해야 한다고 깨달았습니다! 앞으로 더 열심히해서 좋은 방향으로 나아가고 싶습니다.”
'내일배움캠프 > 프로젝트, 과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자료] 최종프로젝트 전 메타인지 - 나는 어디까지 왔을까? (0) | 2023.08.17 |
---|---|
[KPT] 심화프로젝트: 칸반보드 기반 협업툴 서비스 프로젝트 “Hotsix” (0) | 2023.08.14 |